유투브를 시작하기 전에
시장 조사는 필수
여러가지 사이트를 통해 알아보자
블링(vling)과 플레이보드(Playboard) 특징 및 비교
유튜브 랭킹 및 데이터 분석 사이트인 블링과 플레이보드는 각각의 강점과 차별점을 가지고 있다.
블링(vling)
강력한 검색 및 필터: 브랜드에 맞는 유튜버를 다양한 조건(구독자 수, 카테고리, 광고 단가 등)으로 세밀하게 필터링하여 찾을 수 있음.
채널 상세 데이터: 구독자, 조회수, 시청자 분석(성별, 연령, 관심사, 활동 시간대 등) 등 다양한 인사이트 제공.
광고 단가 및 수익 분석: 실시간 데이터와 자체 분석을 통해 유튜버의 광고 단가, 예상 수익, 실제 광고 단가 등을 제공.
AI 기반 추천: 키워드 또는 URL을 입력하면 AI가 최적의 유튜버를 추천.
광고 캠페인 지원: 광고주와 유튜버가 직접 협의할 수 있고, 광고 수수료가 없음.
알고리즘 스코어: 자체 개발한 알고리즘 스코어로 추천 영상 및 인기 콘텐츠 분석이 가능.
플레이보드(Playboard) 특징
정확한 순위 집계: 유튜브 구독자, 조회수, 슈퍼챗(후원금) 등 다양한 기준으로 실시간/일간/주간/월간/연간 순위를 제공.
슈퍼챗 및 라이브 데이터: 전 세계 슈퍼챗 수익 순위, 라이브 시청자 순위 등 실시간 집계.
카테고리별/국가별 차트: 카테고리, 국가, 인기 급상승 등 다양한 기준의 차트 제공.
간편한 랭킹 확인: 인기 영상, 급상승 채널, 최다 조회 영상 등 다양한 랭킹을 한눈에 확인 가능.
데이터 신뢰성: 매일 수천만~수억 건의 데이터를 분석해 신뢰도 높은 순위를 발표
장단점
블링(vling)
장점
광고주와 브랜드에 최적화된 유튜버 탐색 가능
광고 단가, 수익 등 실질적인 마케팅 정보 제공
AI 추천, 세밀한 타깃 분석 등 고도화된 기능
단점
대중적인 인기 순위, 슈퍼챗 등 실시간 랭킹 정보는 상대적으로 약함
데이터의 신뢰성은 자체 분석에 의존
플레이보드(Playboard)
장점
신뢰도 높은 구독자/조회수/슈퍼챗 순위 제공
전 세계 및 국내 인기 채널, 영상, 슈퍼챗 등 다양한 차트 제공
간편하게 인기 유튜버, 영상, 실시간 트렌드 파악 가능
단점
광고 단가, 시청자 분석 등 마케팅 실무에 필요한 세부 데이터는 부족
광고 캠페인 지원, 인플루언서 매칭 등은 제공하지 않음
어떤 목적인지에 따라 뭘 선택한지 다를 듯
유튜브 랭킹 사이트는 블링, 플레이보드 외에도 다양한 국내외 서비스가 있다.
녹스인플루언서(NoxInfluencer)
유튜브, 틱톡, 인스타그램 등 다양한 SNS 채널의 구독자, 조회수, 수익 예측, 광고 단가, 경쟁사 모니터링 등 폭넓은 데이터 제공. 실시간 데이터와 다양한 분석 도구가 강점이지만, 예측 데이터의 한계와 일부 유료 기능이 단점
소셜러스(Socialerus)
국내 최초 유튜브 랭킹 사이트로, 머신러닝 기반의 객관적 랭킹과 카테고리별 데이터 제공. 국내 채널에 강점이 있으나, 글로벌 데이터는 부족합니다.
소셜블레이드(Social Blade)
글로벌 유튜브 랭킹 대표 사이트로, 구독자·조회수·수익 예측 등 다양한 지표 제공. 전 세계 채널 비교에 유리하지만, 한국 채널 데이터의 정확도는 떨어짐
유튜브랭킹, 튜브랭킹, 튜브몬 등
국내 유튜브 채널의 구독자, 조회수, 성장속도 등 랭킹과 일부 세부 데이터 제공. 간단한 랭킹 확인에 적합하나, 세부 데이터와 실시간성은 한계
마케팅 실무, 광고 단가, 타깃 분석 등 실질적 활용이 목적이면 블링, 녹스인플루언서, 소셜러스가 좋을 듯
실시간 인기 순위, 슈퍼챗, 글로벌 비교가 필요하다면 플레이보드, 소셜블레이드가 나을 듯
그럼.. 뭘로 가볼까..